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보다는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를 의미한다.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 증가가 없는 드문 경우에는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비만이라고 할 수 없다. 최근에는 전신의 체지방 축적보다 '복부 비만'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또한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중요하다는 연구가 제기되어 '내장지방형 비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1996년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규정하였다. 그 이후 비만은 현 인류가 극복해야 할 중요한 질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관련글>
원인
비만은 만성적으로 섭취하는 영양분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어 여분의 에너지가 체지방의 형태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즉, 섭취한 음식량에 비해 활동량이 부족할 때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단순한 개념에도 불구하고, 비만은 다양한 신경내분비학적 물질과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여러 요소의 이상이 유전적 또는 현상적으로 아주 복잡하게 연관되어 발생한다.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의 현실적 원인이 된다.
증상
비만의 증상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숨찬 증상, 관절통 등이 있다. 이외에도 각종 합병증에 의한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
①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기준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을 체질량 지수라고 한다. 이는 신장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다. 다만 근육과 지방량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서양인과 다른 동양인의 기준을 따로 마련하여 사용한다. 체질량 지수가 25를 넘으면 비만이라고 합니다(참고 : 8.5~22.9 정상, 23.0~24.9 과체중, 25.0~29.9 비만, ≥30 고도비만)
② 생체전기저항 측정법(bioimpedence analysis, BIA)
생체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결과를 사용하여 비만을 진단한다. 체지방률이 여성의 경우 30% 이상, 남성의 경우 25% 이상일 때 비만으로 진단한다.
③ 허리둘레 기준
줄자로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복부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이는 전신 비만 이외에 복부 비만을 진단하는 보조적인 수단이다. 동양인의 경우, 남성의 허리둘레가 90cm 이상, 여성의 허리둘레가 85cm(80cm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회도 있음) 이상이면 복부 비만으로 진단한다.
④ 내장지방 기준
복부 비만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한 정밀한 수단으로는 복부 지방 CT 촬영이 있다. 촬영 결과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율이 0.4 이상인 경우를 내장지방형 비만으로 진단한다.
치료
비만 치료의 목적은 비만과 연관된 합병증을 예방, 치료하는 것이다. 비만이 호르몬 이상 등의 특별한 원인과 관련되는 매우 드문 경우에는 기저 질환을 치료하면 된다. 비만은 대부분 유전적이거나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 현상이다. 비만 치료의 기본은 생활습관의 변화이다.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을 최대한 늘리기 위하여 짧은 거리는 걸어 다니고,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며, 텔레비전 시청을 피하고(특히 먹으면서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것), 식이조절 및 운동을 규칙적이고 꾸준하게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로는 지방분해효소 억제제가 있다. 이는 체내 지방의 일부가 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부작용으로는 설사 및 지방변이 있다. 또한 식욕억제제를 비만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의사와 상의한 후에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
합병증이 있는 고도 비만 환자의 경우, 위장관에 대한 비만 수술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경과 및 합병증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2배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이는 주로 혈관 동맥경화로 인한 심혈관 질환(뇌졸중 및 허혈성 심혈관 질환)에 의한 것이다. 비만은 이 밖에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담석증, 페쇄성 수면 무호흡증, 생리불순, 다낭성 난소 질환, 불임증, 성욕감퇴, 우울증, 퇴행성 관절염, 통풍과 관련된다. 이외에도 비만은 대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의 각종 암이 생길 위험성도 증가시킨다.
주의사항
'단식'과 같은 극단적인 수단을 이용해 체중 감량을 하면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체지방보다 근육이 더 많이 소실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급격히 감량한 체중은 잘 유지되지도 않는다.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을 짜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우선 2~3kg 정도의 실현 가능한 체중 감량의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하고, 이후 여러 단계에 걸쳐 체중을 서서히 감량하거나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성지방이 뭔가요? (중성지방 낮추는법) (0) | 2023.03.16 |
---|---|
지방간 없애는 방법 및 증상 (원인 치료) (0) | 2023.03.15 |
불안장애 증상 및 테스트 (극복 완치) (0) | 2023.03.14 |
서번트 증후군 뜻 및 유명인 (원인 특징) (0) | 2023.03.14 |
발달장애 유형 및 증상 (원인 기본정보) (0)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