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학급에서 교육과정 측면 : 교수 적합화, 협동학습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학습할 때 물리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존재에서 탈피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 활동이 제공되어야 한다. 즉, 통합학급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애학생의 교육적 능력에 맞게 교육 내용을 수정해야 한다. 교육과정을 수정한다는 것은 교육 목표나 교육 내용만의 수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 활동 전반에 필요한 모든 교육 환경의 수정 및 보완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장애학생 개개인의 능력에 맞게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학습 평가 절차 및 방법, 학급의 교수 환경, 교수-학습 자료, 교사와 학생 그리고 부모 등 모든 교육 환경 등의 조정을 의미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교수 적합화와 장애학생의 학습 활동의 참여도를 높이고, 일반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인 협동학습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교수 적합화 실행하기이다. 교수 적합화에 대한 개념은 학자마다 다르다. 박승희(2003)는 교수적 수정을 일반 학급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특수교육적 요구가 있는 학생의 수업 참여의 양과 질을 가장 적합한 수준으로 성취시키기 위해서 교수 환경, 교수적 집단화, 교수 방법 (교수 활동, 교수 전략 및 교수 자료), 교수 내용 혹 은평가 방법을 수정 및 보완하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신현기(2004)는 Wang(1985, 1989)을 비롯한 적응 교수 연구자들의 관점에 비추어 볼 때 교수적 수정보다는 교수 적합화(curricular adaption 또는 instruction adaptation)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교수 적합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즉, 교수 적합화란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지닌 학생들의 수행의 향상과 수업 참여의 범위와 양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교수 환경, 교수 집단, 교수 내용, 교수 방법,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교육의 전반적인 환경을 조절(accommodation)하고 수정(modification)하는 과정(process)이다. 이는 상대해 줌(responsive)으로써 적응(adaption)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유관적(contingent) 교수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신현기, 2004). 이와 같이 교육과정의 수정은 학자에 따라 다양한 개념으로 정의되고 있지만, 결국 통합학급 상황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수업 참여를 가장 적합한 수준으로 성취시키기 위해서 교수 내용, 교수 방법, 교수 환경, 교수 전략 및 교수 자료 그리고 평가 방법을 수정 및 보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 적합화의 유형에는 교수 환경, 교수 집단 형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방법의 적합 화가 있다(신현기, 2004). 교수 환경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물리적 환경은 교실의 물리적 상태로 조명, 소음 정도, 교실의 가구 배열 등을 의미한다. 사회적 환경은 사회적 분위기로 협동심, 상호 의존감, 소속감 등을 의미한다. 교수적 집단화 형태의 적합화란 교사가 교육 내용을 가장 적절하게 교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학생들의 교수적 집단 배열의 수정을 의미한다. 다양한 능력의 학생들이 한 공간에 공존하는 환경에서 장애학생들의 학습적 요구와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수적 배치로는 대집단 혹은 전체 학급 교수, 교사 주도적 소집단 교수, 협동학습 집단, 학생 주도적 소집단 혹은 또래 파트너, 또래 교사 혹은 다른 연령의 학생 교사, 일대일 교수, 자습 등이 있다. 교수 내용의 적합하는 일반 교육과정의 내용을 장애학생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와 기술의 수행 수준에 적합하게 다양한 수준으로 수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교수 방법의 적합화는 교수 활동, 교수 전략 및 교수 자료의 적합화를 포괄할 수 있다. 교수 활동의 적합하는 교수 내용의 난이도나 양을 수정하는 것이며, 교수 전략의 적합회는 수업 형태, 교육공학 및 특수교육공학, 행동 강화 전략, 정보 제시 및 반응 양식에서의 수정을 뜻한다. 교수 자료의 적합화는 교사가 사용하는 모든 교수 자료를 특수교육 대상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수준에 맞게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평가 방법의 적합하는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독특한 요구를 고려하고 성취 기대 수준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험 시간을 일반 학생보다 길게 제공한다든지, 신체적 불편함으로 필기가 어려운 학생에게는 컴퓨터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 IEP 수행 수준의 점수화, 준거 수준 점수, 일반 교사와 특수교사의 공동 평가, 학생의 자기 평가, 계약 평가 등의 유형을 적용할 수 있다.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사의 장애 이해도 높이기 (0) | 2022.09.24 |
---|---|
협동학습의 개념 및 효과 (0) | 2022.09.24 |
장애의 바른 이해를 위한 사회 · 심리적 환경 구축 (0) | 2022.09.24 |
학교 관리자의 역할 (0) | 2022.09.24 |
학교 현장에서의 통합교육 (0)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