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81 환태평양 조산대 총정리 환태평양 조산대는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세계 최대의 화산대입니다. 태평양을 고리 모양으로 두르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불의 고리(Ring of Fire)'라 부르기도 합니다. 아래에서 환태평양 조산대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환태평양 조산대란? 태평양을 고리 모양으로 두르고 있는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한 세계 최대 길이 4만 km의 화산대입니다. 환태평양 지진대라고도 하며 불의 고리로도 불립니다. 남극의 파머 군도에서 시작해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맥, 북아메리카의 로키 산맥과 알래스카로 이어지고, 다시 알류샨 열도, 쿠릴 열도, 일본 열도를 거쳐 타이완, 말레이 제도, 뉴질랜드로 연결됩니다. 환태평양 조산대의 잦은 지진과 화산 활동은 판 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지각(판)은.. 2023. 2. 8. 레임덕 뜻 유래 등 총정리 레임덕은 현직에 있던 대통령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나타나는 일종의 권력누수 현상입니다. 여기서 레임은 다리를 저는, 절름발이의라는 뜻으로 대통령의 권위나 명령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거나 먹혀들지 않아서 국정 수행에 차질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아래에서 레임덕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레임덕 개요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정치 지도자의 지도력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레임(Lame)은 절름발이의, 다리를 저는이란 뜻입니다. 레임덕(Lame Duck)은 ‘절름발이 오리’를 의미합니다.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지도자의 모습이 마치 뒤뚱거리는 오리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권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고 해서 ‘권력 누수 현상'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레임덕 유래 레임덕은 18세.. 2023. 2. 8. 지진 규모와 진도 총정리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지진 규모와 진도로 나누어 표현됩니다. 규모는 진앙지에서 발생한 지진의 실제 에너지의 규모를 나타내는 절대적인 값을 뜻하며 미국의 지질학자 찰스 리히터에 의해 고안된 리히터 규모가 널리 사용됩니다. 진도는 어떤 한 지점에서 사람이 느낀 정도 또는 구조물 피해의 정도를 계급화한 것으로서 진앙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한국의 기상청에서는 2000년까지 일본기상청에서 규정한 진도계급을 사용했었으나 2001년부터 많은 나라에서 사용하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계급으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6년부터 지역별 진도 정보인 계기진도를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지진 측정의 역사 지진의 크기와 피해를 일관성 있게 파악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시도는 근대 과학의 발전과 함께 계속되어.. 2023. 2. 8. 오로라 현상 총정리 오로라는 태양풍과 함께 날아온 대전입자(플라스마)가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다채로운 빛을 발생시키는 현상입니다. 북극과 남극에 가까운 지역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아래에서 오로라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극지방의 밤하늘에 나타나는 아름다운 현상 태양풍과 함께 지구 경계에 도달한 대전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붙잡혀 지구 대기로 진입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입자들이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다채로운 빛이 발생합니다. 오로라의 색은 대기 중의 기체 분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색과 형태, 밝기가 시시각각 바뀌어 움직이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오래전부터 신비로운 현상으로 여겨졌으며 많은 전설과 신화의 원천이 되기도 했습니다. 오로라는 주로 지구 자극과 가까운 북극.. 2023. 2. 8. 췌장염 증상 치료 등 총정리 췌장염은 췌관의 폐쇄로 인해 췌장액이 조직에 스며 염증을 유발하는 것이 원인이 된다. 염증은 자연치유되기도 하나 종종 괴사하여 고름을 만든다. 아래에서 췌장염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췌장염 정의 췌장염은 췌장 효소(주로 트립신)에 의해 췌장 분비샘이 파괴되거나 췌장에 국소적 혹은 전체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췌장염은 급성과 만성 췌장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급성 췌장염은 췌장에 급성 염증이 생기지만 회복 후 췌장이 정상 기능으로 돌아올 수 있는 경우이다. 만성 췌장염은 췌장의 염증이 계속 반복되면서 비가역적으로 췌장의 외분비 및 내분비 기능에 장애가 초래되는 경우이다. 췌장염 원인 췌장염의 흔한 원인은 담석과 술(알코올)이다. 담낭, 총담관, 간에 있는 담석으로 인해 담관의 끝.. 2023. 2. 7. 변비 원인 해결방법 등 총정리 변비는 의학적으로 변비는 배변 횟수가 적거나 배변이 힘든 경우를 강조하여 배변이 3~4일에 한번 미만인 경우로 정의한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으로 연령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한다. 아래에서 변비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변비 정의 변비는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되어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배변이 1주일에 2회 미만이거나, 배변 시에 굳은 변이 나오거나, 출혈이 동반되는 경우를 변비로 진단한다. 어린이는 보통 성장하면서 장의 운동이 변화한다. 3~4세 정도가 되어야 성인처럼 1~2일에 1~2회 정도의 배변을 할 수 있다. 1세 미만의 영아는 연령에 따른 생리적 특성과 분유, 이유식, 모유 섭취에 따라 하루에 0~9회 정도의 다양.. 2023. 2. 6. 이전 1 ··· 515 516 517 518 519 520 521 ··· 547 다음